퇴계 이황이나 정약용같은 높은 학문을 지닌 이들은 경론을 기록한 분 이다.
길한터에 가옥을 지어살면 자연히 행운을 받아 부귀영화 입신출세한다.
이에 반하면 질병 재해 불행 비천한 액운으로 유리 절멸하게 된다.
천기와 지기가 모여 생기를 발생하는 곳으로 풍광이 아름다운 형승지로 영초 이수가 나타나고 생활의 반달과 신장을 받을 땅이다.
산천정기를 탄다는 관념보다 산하형세의 형상이 인생에 끼치는 환경론 에 중점을 두었다.
양택은 거주를 지상에 두고 음택은 매장하여 땅속을 흐르는 생기에 중 점을 두었다.
양기는 일상 생활에서 직접 유형을 바라보고 접촉하여 유형의 영향을 주요시 한다.
유형의 아름다움과 추함과 같이 자연 그대로 보는대로 길흉지를 선택한 다.
양택의 선정은 성하려는 터, 성한 기운이 상승하려는 터이다.
발전적인 감이 있는 형세의 땅이 길지이다.
발전적인 형세로 행복을 가져 오려는 징후를 길지라함은 인류 본능적인 욕구다.
경상북도 임하면 천천동에 김성일 조상의 집은 삼남의 사대 길지의 하 나로 풍수상 양호한 양택지다. 이 곳에서 살면서 김극일 김성일과 같은 대관 을 배출했다.경상북도 안동군 신세동에 이상룡의 집은 삼상(三相)을 배출하는 영실 (靈室) 도적의 넋을 잃게 하는 남문 불사(不死)의 간(間)이 있는 유명한 집이다.용자형(用字形) 집으로 뒤에 상산(象山)이 있고 앞에 낙동강이 흐르니 환경론으로 길지이고 집의 구조도 길형이다.
양택론
예부터 우리 조상(祖上)들은 자연환경(自然環境)을 숭상(崇尙)하여 오랜 세월(歲月)에 걸쳐서 아름다운 산천(山川)의 길지(吉地)를 찾아서 살았다.
아름답게 가꾸어놓은 생활(生活)터전은 만세(萬世)에 유전(遺傳)되며 명 당택지(明堂宅地)는 대소도시(大小都市)와 농촌을 이루었다.
학문적(學文的)으로 보아도, 대소(大小)의 명당지역(明堂地域)이요, 자 연환경(自然環境)에 알맞게 길지(吉地) 선택(選擇)따라 인간(人間)의 흥 망성쇠(興亡盛衰)와 부귀빈천(富貴貧賤)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인간(人間)은 풍수지리(風水地理)인 자연(自然)을 떠나서는 한시도 살 수 없는 것이 진리(眞理)다.
내가 살고 있는 환경(環境)을 살펴서 가상(家相)을 바로 하는 것이 나 의 안정(安靜)은 물론 후손(後孫)의 장래(將來)를 약속(約束)하는 자연 (自然)의 진리(眞理)다.
명당(明堂)은 주산행용(主山行龍)이 후부(厚富)하며 야산(野山)에 와서 양명(陽明)한 山이 순행(順行)으로 라성(羅城)을 이룬 보국내(保局內)에 결혈(結穴)된 지점이 명혈(名穴)이요, 라성(羅城)을 이룬 보국내(保局內) 를 명당지역(明堂地域)이라 한다.
명당택지(明堂宅地)는 보국(保局)이 형성(形成)된 산진처(山盡處)에 결 혈(結穴)된 자리가 명혈(明穴)이요, 집을 지으면 명당택지(明堂宅地)다.
결혈지(結穴地)는 묘(墓)로 사용 하기보다 동사택(東舍宅)이나 서사택 (西舍宅)으로 배합사택(配合舍宅)에 맞추어 안방이 혈중심(穴中心)에 위 치 하도록 길(吉)한 가상(家相)을 세우면 혈상(穴相)에 따라 발복(發福)이 가택(家宅)에 사는 가족(家族)에게 발복(發福)한다.
수십대(數十代)를 살아도 변함이 없을 터이다.
영구(永久)한 명당택지 (明堂宅地)인 것이다.
양택(陽宅)의 명당택지(明堂宅地)도 주산(主山)과 래용(來龍)의 기세(氣 勢)를 보나 천지기(天地氣)의 조화(調和)를 위주(爲主)로 하니 국세(局勢) 를 위주(爲主)로 한다.
라성(羅城)을 이룬 보국형성(保局形成)의 자세로서 명당국세(明堂局勢) 의 차등(差等)이 생기는 것이니라.
대국세(大局勢)의 형성(形成)은 주세(主勢)가 태조산(太祖山)과 행용(行 龍)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가옥(家屋)에는 가상법(家相法)이 있어서 동서사택(東西舍宅)의 구별(區別) 건물(建物)의 상(相) 정원(庭園)의 상(相) 구조(構造)등의 길 (吉)한 구성법(構成法)이 있으니 아무리 좋은 보국(保局)된 명당택지(明堂 宅地)라도 가상법(家相法)에 맞지 않으면 흉가(凶家)가 되는 것이다.
양택(陽宅)의 가상법(家相法)은 공기(空氣)를 조화(調和)시키는데 있으 니 동서배합사택(東西配合舍宅)의 구성법(構成法)이 중요한 것이다.
택지삼요
배산임수건강장수 (背山臨水健康長壽)
전저후고세출영호 (前低後高世出英豪)
전착후관부귀여산 (前窄後寬富貴如山)
▣ 배산임수건강장수 (背山臨水健康長壽)
山 을 등지고 낮은곳을 향(向])하라는 뜻이다.
배산임수(背山臨水)에 역(逆)하면 흉가(凶家)로다.
도시(都市)도 높은 언덕은 불길(不吉)하나 낮은 언덕은 길(吉)하다.
촌락(村落)에선 낮은 언덕도 불길(不吉)하니 국세(局勢)가 미약(微弱)한 이치(理致)로다.
도시(都市)일리라도 높은 언덕은 피하고 언덕 아래를 선택 하여야 마땅 하다.
낮은 보국(保局)이라도 되었나를 살펴서 언덕을 뒤로 하고 낮은 곳을 향해라.
보국(保局)된 택지의 안정(安靜)을 찾아 천지기(天地氣)의 조화(調和)된 정기(精氣)로서 가족(家族)의 부귀영화(富貴榮華) 건강(健康) 수명장수가 약속(約束)되는 吉한 배치(配置)다.
▣ 전저후고세출영호 (前低後高世出英豪)
내당(內堂)의 주건물(主建物)은 높이 위치하고 정원(庭園)과 행랑체는 낮아야 하는 것이 전저후고(前低後高)다.건물하(建物下) 삼육계단(三六階段)에 정원(庭園) 정원하(庭園下) 삼계 단(三階段)에 도로(道路)전저후고(前低後高)도 경사(傾斜)가 급(急)한 곳은 불길(不吉)하다.비산비야(非山非野)에서 하당건물(下堂建物)과 담이 주건물(主建物)을 보호(保護)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 전착후관부귀여산 (前窄後寬富貴如山)
출입(出入)하는 곳이 좁으면서 정원(庭園)에 들어서면 건물(建物)에 비 하여 정원(庭園)이 너그러이 안정(安定)감이 들어야 후관(後寬)이다.
공기조화(空氣調和)의 정기(精氣)에 뜻을 둔것이다.
지면(地面)은 네모반듯하여야 吉하다.
내당건물(內堂建物)을 위주(爲主)로 보호건물(保護建物)을 좌우전면(左 右前面)에 낮게하고 내외문(內外門)을 만들면 吉하다.
전착후관부귀여산 (前窄後寬富貴如山)전광후착실인도주 (前廣後窄失印逃走)
가상법
아무리 명당택지(明堂宅地)라도 부배합사택(不配合舍宅)이나 가상(家相) 이 허(虛)하거나 빈상(貧相)이면 불길(不吉)하다.
일인오평(一人五坪)이 적당(適當)하다.
특히 명심(銘心)할 것은 門 主 조(조)가 동사택일기(東舍宅一氣)로 구성(構成)되거나 서사택일기(西舍宅一氣)로 구성(構成)되어야 한다.
이것이 배합사택(配合舍宅)이니 가상(家相)에서 가장 중요하다.
門 主 조(조) 측(厠) 정원(庭園)이 기본요수(基本要素)로 가장 중요한 곳이 門 主조다.
門은 대문(大門) 또는 건물(建物)의 출입구(出入口) 현관을 門으로 본 다.
主는 건물(建物)의 중요(重要)한 위치(位置)로 높고 넓고 왕(旺)한 곳을 기두(起頭)로 정한다.
는 음식(飮食)을 만드는 곳으로 가족(家族)의 건강(健康)이 매여있는 중요(重要)한 곳이다.
門 主 조는 동택(同宅)으로 상생(相生) 비화(比和)가 좋다.
측(厠)은 변소(便所)로 가옥(家屋)에서 멀수록 吉하다.
門 主 조는 동택(同宅) 厠 욕(浴) 허간 창고(倉庫)는 반대방위(反對方 位)가 吉하다.
▣ 나쁜 집 모양
원형(圓形)에 꽉차면 길상(吉相)이요, 좁고 길고 높아서 원형(圓形)에 부족(不足)하거나 벗어나는 것은 불길(不吉)한 상(相)이다.
주택(住宅)의 평면대지(平面垈地)는 정사각형(正四角形)으로 원(圓)에 가까우나 전후구별(前後區別)이 없어서 불길(不吉)하니 정사각형(正四角 形)에 1/3을 더한 건물평면(建物平面)의 형(形)이 되어야 길상(吉相)이 다.
정원상(庭園相 )은 정사각형(正四角形)이 吉한 形이다.
공기(空氣)는 원형순환(圓形循環)에서 인체(人體)에 이로운 정기(精氣) 로 변화(變化)된다.
좁고 길수록 공기(空氣)는 흉풍(凶風)으로 變한다.
아파트는 삼층이하(三層以下)의 공기(空氣)가 吉하나 보국형세(保局形 勢) 따라 다르다.
젊은이의 건강자(健康者)는 공기(空氣)의 감각(感覺)을 모르나 허(虛)한 자는 불길(不吉)한 공기(空氣)에 민감(敏感)하여 질병(疾病)이 올 수 있 다.
사람이 활동(活動)할때는 불길(不吉)한 氣를 이겨내는 자체력(自體力)이 있으나 잠잘 때는 자체방어력(自體防禦力)이 없다.
먹는 것은 아무데서 먹어도 잠자리는 절대로 가려야 한다.
잠잘 때는 吉한 공기(空氣)에서 육체피로회복(肉體疲勞回復)과 정신피 로(精神疲勞)가 해소(解消) 된다.
건강(健康)한 몸에서 자손(子孫)도 귀(貴)한 인물(人物)이 태어날 수 있 다.
이는 가상법(家相法)의 음양(陰陽), 상생(相生), 상극(相剋) 조화(調和)의 이치(理致)다.
▣ 좋은 배치
吉한 건물배치(建物配置)에서 부귀(富貴)가 나는 법이다.
건물배치(建物配置)는 지세(地勢)가 생긴 대로 배산임수(背山臨水)와 전저후고(前低後高)해야 吉하다.
대지(垈地)의 형태(形態)따라 건물상(建物相)을 구상(構想)하되 정원상 (庭園相)을 고려(考慮)하여 배합가상(配合家相)으로 한다.
吉한 대지(垈地)가 길상(吉相)이라도 독체(獨體)만 세우는 것은 외로운 상이다.
부수건물을 낮게 배치해야 吉하다.
대문(大門)은 귀(貴)로 보는 것이니 대문상(大門相)이 吉해야 경사(慶 事)가 겹치게 된다.
대문(大門)은 건물(建物)에 비해서 크거나 작아도 흉상(凶相)이다.
부수 건물에다 내외문(內外門)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옛날의 솟을 대문도 貴에 뜻을 두어 이룩된 것이다.
옛날의 대가(大家)집을 구자형(口子形])으로 배치(配置)한것은 전착후관 (前窄後寬)에 뜻을 둔 것이다.
정원(庭園)에서 氣가 순환(循環)하여 조화(調和)되는 것을 이용(利用)했 으니 주위환경(周圍環境)의 이치를 깊이 터득하여 이용함이다.
궁궐(宮闕)의 부수건물을 삼면(三面)으로 배치(配置)한것도 양택법(陽宅 法)에 의한 가상법(家相法)이다.
吉한 가상(家相)에서 인재(人才) 미인(美人) 난다.
吉한 가상(家相)이란 건물(建物)이 길상(吉相)으로 후부(厚富)하며 건물 (建物)에 비교(比較)되는 정원(庭園)이 되어야 氣가 吉한 공기(空氣)로 변 화(變化)한다.
▣ 나쁜 배치
건물배치(建物配置)에서 흉상(凶相)이면 동서사택(東西舍宅)의 구별(區 別)을 따질 필요(必要)없이 흉가(凶家)로다.
앞 건물(建物)이 높고 뒤 주택(住宅)이 작고 낮으면 큰 건물(建物)에 부 닥치는 바람이 질풍(疾風)이 되어 해(害)로운 것이다.
앞 건물(建物)과 뒷 건물(建物) 사이가 협소9狹小)하면 외부(外部)의 吉 한 공기(空氣)도 내부(內部)에 들어와서 흉풍(凶風)으로 변화(變化)되는 가운데 비천자(卑賤者)가 출생(出生)한다.
두뇌(頭腦)가 좋아지는 것은 수면시(睡眠時) 氣의 조화(調和)된 정기(精 氣)를 호흡(呼吸)하는데서 이루어진다.
건물(建物)이 충(沖)하면 사람이 상(傷)한다.
한 원내(院內) 두 건물(建物)이 같이 배치(配置)하면 재패(財敗) 파산 (破産)한다.
▣ 동서사택
동방위(東方位)는 감(坎), 리(離), 진(震), 손(巽)이 동사택(東舍宅)이다.
서방위(西方位)는 건(乾), 곤(坤), 간(艮), 태(兌)가 서사택(西舍宅)이다.
동사택(東舍宅)은 양(陽)이니 귀격(貴格)이라 귀(貴)의 발복(發福)이 크 다.
서사택(西舍宅 )은 음(陰)이니 부격(富格)이라 복(福)의 발복(發福])이 크다.
동서사택(東西舍宅)에 사택일기(舍宅一氣)로 배합사택(配合舍宅)이 되었 을 때 부귀발복(富貴發福)을 바라고 부배합(不配合)이면 화(禍 )를 당한 다.
건(乾), 곤(坤), 간(艮), 태(兌)는 서사택(西舍宅)으로 문주(門主)조가 혼 합(混合)되면 인구상망(人口喪亡)과 거듭되는 재화(災禍)를 틀림 없이 당 한다.
감(坎), 리(離), 진(震), 손(巽)은 동사택(東舍宅)으로 문주(門主)조가 사 택일기(四宅一氣)로만 구성(構成)되면 자손(子孫)이 흥왕(興旺)하고 부귀 영화(富貴榮華)한다.
다섯 가지 가난한 집
일허(一虛) 택(宅)이 크고 사람이 적은 것.
이허(二虛) 택(宅)이 작고 문(門)이 큰 것.
삼허(三虛) 장원(墻垣)이 완전치 못한 것.
사허(四虛) 정(井)조가 장소(場所)를 옳게 얻지 못한 곳.
오허(五虛) 택지(宅地)가 많아 소옥(小屋)에 정원(庭園)이 넓은 것.
다섯 가지 부귀한 집
일실(一實) 택(宅)이 작고 사람이 많은 것.
이실(二實) 택(宅)이 크고 문(門)이 작은 것.
삼실(三實) 장원(墻垣)이 완전한 것.
사실(四實) 택(宅)이 작고 육축(六畜)이 많은 것.
오실(五實) 수구(水口)가 남동(南東)으로 흐르는 것.
남몰래 부가(富家)의 지하토(地下土)를 떠와서 정수(淨水)를 써서 대문 (大門)위에 칠하면 재왕(財旺)하고 부가(富家)를 해치지 않고 우각(牛角) 을 취해서 축방위(丑方位)에 묻고 우골(牛骨)을 남방(南方)에 묻으면 길 하다.
대석(大石)을 택(宅) 사우(四隅)에 두면 재이(災異)가 일어나지 않는다.양택은 백가천손(百家天孫)의 부귀행복을 위함이니 한집만 조영하는 소 규모의 땅이 길지를 대지라 하지 않는다.
백자천손(百子千孫)이 번영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음택은 사방 십보내의 협소하여도 되지만 양택은 수십 수백 수천보로 클수록 좋다.
음택은 나무 뿌리를 배양하는 곳이므로 좁아도 되지만 양택은 지엽이 번성하여야 하므로 생기가 모임이 넓고 커야한다.
땅속의 생기를 받아야 하는 음택은 작아야 하고 양택은 넓고 커야한다.
음택은 땅속의 생기를 직접 받고 양택은 생기있는 땅위에 집을 지어 간 접적으로 생기를 향유함이다.
양택은 형세의 영향을 받는다.
양택은 땅속을 흐르는 생기와는 간접적이고 지상의 형세와 유형이 직접 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선간수구(先看水口)
차간야세(次看野勢)
차간산형(次看山形)
차간토색(次看土色)
차간수리(次看水理)
차간조산조수(次看朝山潮水)
정원수 선택
인가(人家) 거지(居地)에 나무 창송취죽(蒼松翠竹)을 심으면 사반(四畔) 이 울연(鬱然)하여 저절로 생왕(生旺)하여 속기(俗氣)가 없어지고 양거(陽 居)는 음(陰)을 좋아하고 음거(陰居)는 양(陽)을 좋아하여 음양(陰陽)이 상화(相和)하는 이치다.
정심(庭心)의 수목(樹木)을 간곤(間困)이라 한다.
화앙(禍殃)을 주재(主宰)한다.
과수(果樹)가 무성(茂盛)하여 집 좌우(左右)를 덮으면 질자(疾者)를 주 장한다.
대수(大樹)의 줄기가 문에 닿으면 흉하다.
술방(戌方)의 대수(大樹) 옥정(屋頂)의 고수(枯樹)는 귀(鬼)를 모은다.
문전(門前)의 고수(枯樹) 시수(枾樹)의 그늘을 피하라.
문수(門樹)의 두갈래를 피하라.
동청(冬靑)인 사철나무처럼 뾰족함을 피하라.
나무둥치 밑이 붓고 허리가 붓고 가운데가 비고 나무가 밖으로 향하고 나무 꼭지가 수도(垂倒)하고 고수(枯樹)에 등(藤)나무가 기어오르고 오그 라지고 굽은 나무는 불길하니 속히 베어 버려라.
집터 안에 수명(壽命)이 긴 나무는 심지 말아라 제거하기 어렵다.
백년(百年)의 대수(大樹)는 함부로 베면 재앙(災殃)을 면치 못한다.
나무 뿌리가 처마밑에 들어오면 흉하다.
대추나무는 집의 서(西 )쪽에 있으면 작은 덕을 얻게 된다.
수양버들을 동(東)에 심으면 우마(牛馬)에 이롭다.
느릅나무는 미향(未向)이나 집뒤가 좋으니 귀신(鬼神)이 감히 넘보지 못한다.
복숭아는 남향(南向)이 좋고 우물가를 피하라.
자두는 동향(東向)이 길하고 서(西), 남(南), 북향(北向)은 흉(凶)하다.
살구는 北이 길하고 진방(辰方)은 흉하다.
오동은 술해방(戌亥方)에 삼주(三株)를 심으면 노비(奴婢)를 성하게 하 고 뜰 앞은 흉하다.
괴목(槐木)은 중문(中門)에 삼주(三株)를 심으면 세세부귀(世世富貴) 택 전대길(宅前大吉) 신방(申方)은 도적(盜賊)을 막는다.
능금나무는 진방(辰方)이 길하고 저택내(邸宅內)는 피한다.
뽕나무는 西쪽이 길하다.
매화(梅花)는 南쪽이 길하고 무궁화는 택내(宅內)를 피한다.
석류(石榴)는 뜰 앞에 심으면 현자(賢者)를 내고 후사(後嗣)가 많고 大 吉하다.
개암나무는 北이 마땅하다.가옥(家屋)에 가까운 풍수(楓樹)는 鬼가 산다.
중정(中庭)에 식수(植樹)하지 마라.
그늘엔 꽃을 심어 난간(欄干)을 만들어라.
저택(邸宅)이 左에 흐르고 右로 간길이 없고 앞에 오지(汚池)뒤에 구릉 (丘陵)이 없으면 반드시 東에 도유( 柳) 西에 자유(楡) 南에 매조(梅棗) 北에 내행(柰杏)을 심어서 청룡(靑龍) 백호(白虎) 주작(朱雀) 현무(玄武) 로 삼아라.
집뒤에 묘지가 있으면 묘지가 氣를 모아 흥하고 택(宅)이 쇠퇴(衰退)한 다.
묘지뒤에 집을 지으면 집이 맥(脈)을 끊어 묘지는 쇠퇴(衰退)하고 집은 일어난다.
래용맥(來龍脈) 위를 행시(行尸)나 시집 장가가는 가취가 자나가면 생 기를 빼앗는다.